돌이켜보면 대학 시절은 끊임없이 경로를 수정해나가는 여정이었다.
본래 내가 원했던 것은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의학의 길이었다. 하지만 세 번의 간절한 도전에도 그 길은 끝내 열리지 않았고, 나는 새로운 길을 모색해야 했다. 당시의 논리는 간단했다. 생명 그 자체를 직접 다루지 못한다면, 생명이 살아가는 터전인 환경에 기여하자는 것이었다. 그렇게 사회환경공학을 전공으로 선택했다.
하지만 첫 선택에 대한 아쉬움은 쉽사리 가시지 않았다. 새내기 시절엔 정이 가지 않는 학교 수업을 피해,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가 깃들어 있는 도서관과 즉각적인 도파민을 충족시켜 주는 술자리 사이에서 비틀거리며 삶을 흘려보냈다.
이 권태로운 흐름에 변화를 가져다준 것은 20달 간의 군 복무와 그 직후 2달 간의 미국 여행이었다. 군 생활은 억압과 고독 속에서 자신을 돌아볼 기회를, 미국에서의 경험은 자유와 연결 속에서 시야를 넓힐 기회를 제공했다.
깨달음을 향한 여정을 마칠 무렵, 복학하면 어떤 목표를 추구할지 윤곽이 잡히기 시작했다. 환경이라는 거시적인 틀에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것도 의미 있지만, 그보다는 우리의 미시적인 일상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 기반 도구를 직접 구현하는 삶이 더 의미 있어 보였다.
이러한 생각의 전환과 함께, 나는 새로운 다짐으로 2학년 과정에 복학했다. 1학년 때 학점 관리에 소홀했던 탓에 전자공학이나 컴퓨터공학 등 다른 학과로의 전과는 현실적으로 어려웠다. 하지만 학과 내에서 ‘SW융합전공’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2학년부터는 원하는 과목들을 수강하며 학부를 다닐 수 있었다. 이를 통해 C, Java, Python 같은 기초 프로그래밍 언어로부터 인공지능, 컴퓨터비전, 디지털영상처리 등의 심화 분야까지 어우르는 다양한 CS 과목들을 폭넓게 수강했고, 더 나아가 인공지능을 활용한 대기모델링실습과 같이 기존의 전공과 AI를 융합하는 다양한 응용 분야를 탐구했다.
또한 배움은 단순히 기술적인 영역에만 머무르지 않았다. 법학, 경영학, 경제학, 심리학 등의 과목을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했고, 창업 동아리와 금융 투자 동아리 활동을 통해 실물 경제와 시장의 역동성을 직접 체험하기도 했다.
마지막 학기부터는 자연어처리(NLP) 연구실에서 학부 연구생으로 활동하며 연구자로서의 커리어에 첫 발을 내디뎠다. 이제 나의 시선은 거대 언어 모델(LLM)을 넘어 인공일반지능(AGI)이라는, 어쩌면 인류 역사상 가장 변혁적인 기술의 실현을 향하고 있다. AGI는 단순한 기술적 도약을 넘어, 인간 지성의 본질을 탐구하고 그 한계를 확장하며, 우리가 현재 직면한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더 나아가, AGI는 인류의 창의성과 생산성을 전례 없이 증폭시켜, 모든 개인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더 나은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
물론, 이 길은 예측 불가능한 도전과 윤리적 숙고를 끊임없이 요구할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다양한 학문적 탐구를 통해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이 거대한 변화의 물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한다. AGI가 가져올 무한한 가능성을 현실로 만들고,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며, 그 혜택이 인류 전체에 공평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헌신하는 것. 이것이 내가 앞으로 나아갈 길의 명확한 명분이다.